주로 차트를 기반으로 운영하며, 코인판에서 도움이 되는 트렌드, 정보를 공유합니다. 📊Trading Service 이용 안내 트레이딩 서비스 소개 및 가입신청: https://t.me/Dynastylabs/20349 ▶️채널 안내 메인 채널 : @DynastyLabs 채팅방 : @Dynastychat 💬Admin : @Matteo_Dynasty
#BTC
$81,552 도달!
전 비트 비중 25% 정도 추가로 덜어냈고, 알트는 그대로 홀딩중입니다.
#BTC
$76,275 , $80,500, $81,552를 다음 타겟으로 잡았었고, $80,500까지 도달하였습니다.
제 숏포지션 뚝배기는 정확히 $80,603이였군요.
롱도 분할하여 익절할 계획입니다.
#BONK
일봉 봉크 차트입니다.
상장 당일의 종가인 $0.00002373에 수평선을 작도하였습니다.
5월 28일의 고가로부터 시작하는 하락 추세선을 작도하였습니다.
해당 하락추세선의 최초 돌파는 9월 30일경 진행되었으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시금 하락추세선 내로 회귀하였습니다.
이후 몇 차례 하락 추세선을 가운데 두고 위 아래로 무빙을 주고 받았으며, 현재는 하락 추세선을 아래에 두고 있습니다.
여기서 추가적인 상승이 나와 $0.00002373위로 시세를 유지한다면 7월 21일의 OB 인 $0.00003096 ~ $0.00003248 까지를 목표로 둘 수 있겠습니다.
아래로는 하락추세선의 리테스트가 이뤄지는지, 장기 이동평균선의 지지가 유지되는지를 포인트로 잡고 접근하시면 좋겠습니다.
#MAV
이후 차트입니다.
OB $0.1435 ~ $0.1278을 붕괴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저점 갱신엔 실패하여 보다 많은 물량을 모으실 수는 없었겠지만, OB에서 체결된 수량만으로도 나쁘지 않은 수익을 볼 수 있겠군요.
장기 하락 추세선또한 다시금 돌파했으니, 상단에 위치한 장기 이동평균선까진 끌고 갈만한 종목이라고 보여집니다.
#TAIKO
일봉 차트로 접근하였습니다.
9월 7일부터 9월 28일까지 약 3주간 이어진 반등 랠리 직전의 마지막 음봉 $1.355 ~ $1.285 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음봉의 저가 $1.249와 직전의 저점인 $1.427에 각 각 수평선을 작도하였습니다.
7월 22일의 고가로 부터 시작하는 하락 추세선을 작도하였습니다.
10월 25일과 28일 있었던 하락에서 모두 OB를 터치하고 반등이 진행되었음과 해당 반등에서 $1.427의 저항을 맞고 반락되었음에 우리는 OB와 수평선이 모두 유효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11월 3일과 4일 있었던 하락에서 $1.249 에 위치한 수평선을 헌팅하고 강한 반등이 진행되었음에 해당 수평선에 위치한 SL 오더를 쓸어버리고 매물을 소화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1.4270 위로 시세를 유지중이며, 아래의 수평선과 OB의 지지가 붕괴되지 않는다면, 상단에 위치한 하락추세선까지가 단기적으로 보이며, 상단에 위치한 하락추세선을 돌파한다면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1.68 ~ $1.73을 다음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KommDAO #VC
안녕하세요, 제가 속해있는 벤처 다오가 플랫폼을 런칭하게 되어 공유드립니다.
지난 2년 동안 프라이빗하게 운영되었던 투자 DAO인데, 플랫폼을 런칭하면서 새로운 멤버를 초대합니다.
a16z, Binance Labs, Coinbase Ventures, DCG 등 글로벌 탑티어 투자사들과 함께 유망 Web3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DAO이며, 기존 VC와 기관 투자자들 그리고 아주 일부의 개인에게만 주어지던 프라이빗과 시드 투자의 기회를 일반 유저들에게도 제공하는 DAO입니다.
https://app.kommdao.com/
플랫폼 링크는 위와 같으나, 승인제로 이뤄지기 때문에 가입을 희망하신다면 @Matteo_Dynasty 로 이메일 주소를 첨부해주시기 바랍니다.
#HSK
1️⃣🚀 기간 한정 캠페인: TGE 전 HSK 이벤트
총 상금풀 : 200,000 HSK
- 신규 가입 후 KYC 20 HSK
- 첫 거래시 추가 15 HSK
이벤트 기간 : 11/7 - 11/15
모든 보상은 TGE 이전에 지급됩니다.
2️⃣💥해시키 글로벌에 원하는 금액의 TRX를 첫 입금하세요.
완료한 신규 사용자는 누적 순입금액에 따라 푸짐한 HSK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순입금액 10 TRX당 1 HSK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총 30,000 HSK의 보상 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상은 사용자당 30 HSK로 제한됩니다.
이벤트 가입 바로가기
#GOAT
이후 GOAT 차트입니다.
우하향 채널의 돌파가 있었으며, 말씀드렸던 $0.61 / $0.7의 저항에 도달하였습니다.
현재는 $0.7 인근에서 시세를 유지중이며, 상방돌파한 하락추세선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면 남은 $0.87 의 저항대도 볼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SUI
이후 차트입니다.
신고가를 갱신하고 나서 고점을 한차례 낮췄으며, 중기 이동평균선 또한 붕괴되었습니다.
현재 장기 이동평균선은 $1.52 ~ $1.43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해당 장기 이동평균선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다시금 추세를 이어감이 가능하나, 해당 장기 이동평균선의 붕괴가 있다면 $1.46 ~ $1.1174 의 빈 매물대를 채우러 갈 수 있습니다.
해당 매물대는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면서 그저 지나갔던 매물대로 해당 가격대에서 차트가 길게 유지된 역사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해당 매물대의 빈 역사를 채울 수 있음을 주의해야합니다.
#APT
이후 차트입니다.
지속적으로 지지받던 중기 이동평균선을 10월 25일의 음봉으로 하방이탈하였습니다.
이후 29일 다시 탈환을 하는 듯 하였으나, 유지하지 못하고 결국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현 구간까지의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재 위치한 $8.15에서 하락추세선이 위치한 $7.6 구간이 중요하며, 해당 구간을 지킨다면 아직 추가적인 상승 여력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깨진다면 아래의 음운대와 OB 구간인 $7 초반까지는 생각해야겠군요.
#MAV
이후 차트입니다.
다음 지지 구간으로 말씀드렸던 OB $0.1435 ~ $0.1278에 도달하였습니다.
어제의 음봉에서 거래량이 그나마 좀 터져줬고, 그 거래량에 비해 레인지는 4%정도 밖에 안되는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직전의 최저점이였던 $0.1154를 잠시깨고 회복하면서 스프링 반응이 나와준다면 괜찮은 시나리오가 나올 것 같습니다.
SL를 잡을 구간이 명확하게 있지는 않아서 선물로 접근할 수는 없겠지만, 현물로는 시나리오 세워 접근해볼 수 있겠군요.
차트빼고 간략하게만 브리핑을 드리면,
비트코인은 이전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듯이 $71.3K ~ $73K 에서 추가적인 익절을 진행하였고, 금일 진행된 하락에서 이더리움을 다시 매수하였습니다.
금일 발생한 하락은 그리 심각해보이지는 않았으며, 최대 조정폭은 일봉 25 이평이 위치한 66.9K를 보고 있습니다.
일부 익절하면서 추가적으로 생긴 테더로 무엇을 더 주울까 보고 있는 정도입니다.
다시 월요일에 차트와 함께하는 제대로된 브리핑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차트 분석! 무엇이든 물어보살🔮
궁금하셨던 종목을 올려주시면 다이너스티에서 분석해드립니다.
📍접수 시간 : 13:00 ~
📍접수 방법 : 해당 글의 댓글로 선착순 6개의 종목 진행
종목 분석은 개별로 채널에 업로드됩니다.
#ONDO
일봉 차트입니다.
6월 3일의 고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하락 추세선을 작도하였습니다.
해당 고점에서 내려오면서 형성한 첫 저점 7월 8일의 저가 $0.84333에 수평선을 작도하였습니다.
3월 31일 ~ 4월 12일까지 이어진 단기적인 조정전 마지막 양봉의 시가인 $0.89677에 수평선을 작도하였습니다.
8월 2일의 하락에서 $0.84333이 붕괴되며 추가적인 하락이 나왔음과 9월 6일 저점을 기록하고 진행된 9월 27일까지의 단기적인 반등 랠리에서 $0.84333 ~ $0.89677의 저항을 맞고 다시금 반락되었음에 우리는 해당 두 수평선이 유효하게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장기 이동평균선의 단기적인 저항과 상단엔 기존의 저항 $0.84333 ~ $0.89677을 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로는 $0.65885를 키레벨로 두고 있습니다.
$0.65885 위로 시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가격 아래로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치시킬 수 있다면, 이후 다음 타겟은 상단의 저항 $0.84333 ~ $0.89677까지를 두고 접근할 수 있겠습니다.
#SHIB
이후 SHIB 차트입니다.
저는 아직도 $0.012889 평단의 1000SHIB 롱포지션을 홀딩하고 있으며, $0.0001575 부근을 돌파했기에 추가적으로 홀딩중입니다.
이젠 장기 이동평균선의 저항또한 돌파하고 지지로 굳혔기에, 아직까지는 매도의 근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장기 이동평균선의 지지가 붕괴되거나 상단에 위치한 저항대에 닿는 다면 잔여 포지션을 줄일 계획입니다
#FLOKI
일봉 플로키 차트입니다.
24년 3월 12일부터 4월 13일까지 약 한 달간 지속된 하락 이전의 마지막 양봉 $0.000272 ~ $0.00298 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5월 28일 ~ 6월 6일의 상승에서 해당 OB를 돌파하며 쌓인 SL를 휩소로 터트렸으며,이후 8월 5일까지 약 75%에 해당하는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4월 13일의 저점 $0.00010989에 수평선을 작도하였습니다.
8월 5일 발생한 하락에서 해당 수평선을 일시적으로 붕괴하며 매물을 흡수하고 종가상 다시금 해당 수평선을 회복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9월 27일까지 단기적인 랠리가 진행되었으며, 단기적인 랠리직전의 마지막 음봉인 8월 5일 $0.00012204 ~ $0.00011022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최근 11월 4일경 있었던 하락에서 해당 OB의 지지를 받고 반등중임을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월 22일의 고점으로부터 시작하는 중기적인 하락추세선과 9월 27일의 고점으로부터 시작하는 단기 하락추세선을 작도하였습니다.
아래 OB의 지지가 유지된다면 상단에 위치한 하락추세선들을 돌파하고 $0.0020 대에 위치한 저항대까지를 목표로 둘 수 있겠습니다.
#BTC
이후 차트입니다.
잠깐의 붕괴가 있었지만, $67.5K ~ $67.8K 위로 시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했고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소식과 함께 기존에 저항을 받던 $71.4K ~ $73K의 저항 구간 또한 상방돌파하여 신고점에 도달하였습니다.
저는 $50.8K, $65.2K, $67.1K 의 롱포지션과, 소규모의 $72.6K 숏포지션을 홀딩하고 있으며, 숏포지션의 청산가가 $80.5K기에 아직 양쪽 다 홀딩중입니다.
물론 롱 포지션의 규모가 숏 포지션보다 훨씬 크기에 만족스러운 수익을 보고 있으며, 해당 숏포지션의 청산이 이뤄진다면 롱 포지션도 하나 더 정리해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저항 구간으론 피보나치 확장 비율 1.272 값인 $76,275 , 1.618 값인 $81,552 , 제 숏포지션의 뚝배기인 $80,500 이렇게 3 곳을 보고 있습니다.
신고점을 돌파하였기에 조정이 있어도 추세만 깨지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상방을 보고 홀딩해가며 추세를 먹는게 베스트겠습니다.
차트 분석! 무엇이든 물어보살🔮
궁금하셨던 종목을 올려주시면 다이너스티에서 분석해드립니다.
📍접수 시간 : 13:00 ~
📍접수 방법 : 해당 글의 댓글로 선착순 6개의 종목 진행
종목 분석은 개별로 채널에 업로드됩니다.
#HSK #HashKey
드디어 해시키의 거래소 코인, HSK 코인이 상장합니다.
상장 타임라인
HSK 입금: 2024년 11월 7일, 07:00(UTC)
HSK/USDT 현물 거래: 2024년 11월 26일 10:00 (UTC)
HSK 출금: 2024년 11월 27일, 10:00(UTC)
https://support.global.hashkey.com/hc/en-us/articles/16761152342300-HashKey-Global-Initial-Listing-HashKey-Platform-Token-HSK
해시키 바로가기
#BTC
이후 차트입니다.
잠깐의 붕괴가 있어 $66.8K 부근까지 시세가 밀렸으나, $67.5K ~ $67.8K 위로 시세를 유지하고 금일 신고점을 돌파하여 $75K에 도달하였습니다.
전 $67.1K에 추가적으로 매수했으며, $67.7K 부근에 진입하였던 롱포지션은 익절하고 잔여 포지션은 홀딩중에 있습니다.
#GOAT
1 시간봉 GOAT 차트입니다.
CEX에서는 역사가 그리 깊지 않아 덱스크리너에서 접근하였습니다.
10월 25일의 고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하락 추세선을 작도하였습니다.
10월 20일 00시 $0.4948 ~ $0.5141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10월 23일 이후 해당 OB를 돌파하고 추가적인 상승이 있었고 고점을 형성하고 내려오는 과정속에서 10월 31일 해당 OB를 확인하고 단기적인 반등이 진행된 점에 우리는 해당 OB가 유효하게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11월 3일 10시 $0.4404 ~ $0.4278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이후 해당 OB를 다시금 터치하고 약 $0.55 까지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는 $0.4948 ~ $0.5141 의 OB를 다시금 테스팅하고 있으며, 이 두 OB에서 지지받고 반등을 하지 못한다면 10월 28일의 저가로부터 시작하는 우하향 채널의 하단부의 지지를 기대해야합니다.
추가적인 상승시엔 $0.61 / $0.7 / $0.86 순으로 다음 저항대를 잡아 볼 수 있겠습니다.
#Oasys #OAS
오랜만에 보는 오아시스 차트입니다.
이전에 수익냈던 좋은 기억이 있는 종목이라 반갑군요.
2월 13일 고점 $0.145 부근에서 8월 5일 저점 $0.027까지 약 81.6% 가량 하락하였고 이후 상장 이후의 첫 저가권까지 반등했습니다.
8월 5일의 캔들에 OB를 작도하려했으나, 너무 레인지가 넓은 캔들이라 8월 7일의 시 ~ 종 권인 $0.0304 ~ $0.0283에 OB를 작도하였습니다.
해당 OB를 어제의 저가로 확인하고 약반등중에 있습니다.
해당 OB만 지켜준다면 충분히 상단에 위치한 장기 이동평균선 $0.038 / $0.042 를 목표할 수 있는 종목으로 보입니다.
#STX
이후 차트입니다.
그 얇아진 일목균형표상의 음운대 그것 하나를 못뚫어내고 반락되었습니다.
올렸어야할 시점에 올리지 못하고 오히려 반락되어 실망매물이 나오고 있다고 해석되며, 이제 다음의 지지구간으로는 8월 5일의 OB인 $1.374 ~ $1.227 구간이 있습니다.
해당 구간에서 반등이 진행된다면 $1.56 구간이 저항으로 작용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하락에서 레인지는 나왔지만 거래량이 하나도 터지지 않았다는게 약간 찝찝한 종목입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1.374 ~ $1.227 구간에 도달하면서 거래량이 터져주고, 반등하는 것입니다.
#BTC
이후 차트입니다.
$71.4K ~ $73K에 위치한 저항대에서 분할 익절하고 뒤에 무빙을 기다렸고, 이후 $67.4K 까지 약 10% 정도의 조정이 있었습니다.
위의 저항대에서 익절한 테더로 이번 하락에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수했으며, 각 각 $2455, $67705 의 평단의 롱 포지션을 추가로 보유중입니다.
이제 비트코인 포지션은 $50.8K, $65.27K. $67.7K 의 롱포지션과 $72.7K 평단의 숏포지션을 보유중이며, 이더리움은 $2455 평단의 롱포지션을 보유중입니다.
24년 3월부터 시작된 장기 하락 추세선을 10월 18일경 처음 돌파 시작했었고, 이후 상단부를 다시금 테스트하고 $73K까지의 슈팅이 나왔으며, 어제의 음봉으로 해당 하락 추세선의 상단부를 다시 테스팅하였습니다.
$67.8K 부근에 위치한 이동평균선과, $67.5K 부근에 위치한 수평선, 그리고 마찬가지로 $67.6K 부근에 위치한 상방 돌파하였던 하락추세선이 있기에, 해당 $67.5K ~ $67.8K 부분은 현재 장에 키레벨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잠깐의 붕괴가 있더라도 결과적으로 시세를 해당 $67.5K ~ $67.8K 위로 위치할 수만 있다면, 다시 한 번 고가권을 시도할 수 있다는 관점입니다.
다만 직전의 브리핑에서 말씀드렸듯, $71.4K ~ $73K에 위치한 저항대에 대한 결과는 아직 알 수 없기에, 포지션을 줄이거나 일정량의 헷징이 더해지는 것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판단합니다.
트레이딩뷰가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있어서, 차라리 월요일에 주봉 마감되고 요청 주신 종목들과 비트코인을 분석하려합니다.
어떻게 해결을 해보려했는데 되지가 않는군요 ㅠㅠ;
M^0 🤝 Wormhole
M^0 재단의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M 토큰이 웜홀 NTT를 통해 솔라나, 베이스, 아비트럼, 옵티미즘, 아발란체 등 멀티체인으로 확장됩니다.
What is M^0? 🏦
⚫ 미국채와 같은 실제 준비금을 담보로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탈중앙화 인프라 레이어
⚫ 여러 기관들로 구성된 발행자 연맹(Federation of Minters)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및 유통량 관리